히즈라력(AH) 247년-334년
861년 야쿠브 이븐 알레이스 알사파르가 시스탄에서 사파르 통치를 세우다
862년 아바스 왕조가 여름에 파루리야를 정복하다. 알문타시르가 독살되고 튀르크 군지휘관들에 의해 알무타와킬의 조카 알무스타인이 칼리파로 즉위하다
863년 랄라콘 전투로 말라티아 토후국의 힘이 꺾이고 비잔틴의 반격이 시작되다
864년 하산 이븐 자이드가 타바리스탄에 시아파의 자이드 분파 국가를 세우다
865년 사만 왕조의 통치자 아마드가 사망하고 나스르 1세(사실상 독립 군주)가 계승하다
866년 아바스 내전: 알무스타인이 사마라에서 도피하며 퇴위되고 알무타와킬의 아들 알무타즈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알리의 후손인 무함마드 이븐 유수프 알우카이디르가 야마마에 독립 왕국을 세우다
868년 알리 알하디가 독살되고 하산 알아스카리가 이맘이 되다. 시아파의 마지막 이맘 무함마드 알마흐디가 태어나다
튀르크 출신의 총독 아흐마드 이븐 툴룬이 이집트에서 툴룬 통치를 세우다
869년 튀르크 군대의 쿠데타로 퇴위를 강요받은 알무타즈가 감옥에서 죽고 알와티크의 아들 알무흐타디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바스라에서 잔즈 반란이 시작되다
870년 튀르크군이 알무흐타디에 맞서 반란을 일으켜 알무흐타디가 처형되고 알무타와킬의 아들 알무타미드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잔즈의 본거지가 남이라크 알무크타라(al-Mukhtarah)에 세워지다
871년 바리가 신성 로마 황제 루도비쿠스 2세에게 함락되어 바리 토후국이 멸망하다
873년 호라산 총독 무함마드 이븐 타히르가 사파르군에게 전복되다
874년 시아파 11대 이맘 하산 알아스카리가 독살되고 무함마드 알마흐디가 이맘이 되다
875년 알무스타인의 와지르(재상) 압달라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야즈다드 알마르와지가 사망하다
이프리키야의 봉신 에미르 무함마드 이븐 아흐마드가 사망하다
876년 4월 8일 데이르 알아쿨 전투: 알무와팍이 이끄는 아바스 군대가 티그리스 강에서 사파르 진군을 막다. 야쿠브 이븐 알레이스가 아바스의 수도 바그다드를 점령하려 했지만 자신의 군대와 함께 퇴각하다
878년 시라쿠사가 무슬림 아글라브군에게 함락되다
879년 아바스 왕조가 메소포타미아의 잔즈 반란에 맞서 노력을 집중하다. 아불 압바스 아흐마드(장래의 알무타디드)가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원정군(10,000명)을 이끄는 지휘관으로 임명된 것이 전쟁의 전환점이 되다
시스탄에서 야쿠브 이븐 알레이스 알사파르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아므르 이빈 알레이스가 계승하다
883년 잔즈 반란이 종결되다
884년 압둘라 이븐 우마르 알하바리가 부친의 뒤를 이어 신드의 통치자가 되다. 그의 아버지 우마르는 사마라의 무정부 상태 및 5차 피드나를 통해 861년 독립 왕조를 만들었다
이집트에서 아흐마드 이븐 툴룬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쿠마라와흐 이븐 아흐마드 이븐 툴룬이 계승하다
886년 코르도바 우마이야의 통치자 무함마드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문디르가 즉위하다
888년 코르도바 통치자 알문디르가 사망하고 그의 이복동생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 알라흐만이 즉위하다
889년 무함마드 이븐 알사즈가 사즈 통치를 세우다
890년 함단 이븐 함둔이 자지라(상부 메소포타미아)에 함단 통치를 세우다
892년 알무타미드가 사망하고 그의 조카 알무타디드가 칼리파가 되다. 사만 왕조의 통치자 나스르 1세가 사망하고 그의 형제 이스마일 1세가 계승하다
893년 알하디 야히야 이븐 알후세인 이븐 알카심이 예멘에 자이드 이맘국을 세우다
894년 루스탐 토후국이 코르도바의 봉신이 되다
896년 쿠마라와흐 이븐 아흐마드 이븐 툴룬이 살해되고 그를 계승한 아들 아부-아사키르 자이시도 같은 해에 살해되다. 그 뒤를 자이시의 형제 하룬이 잇다
899년 아부 사이드 알잔나비가 바레인에 카르마티아를 세우고 바스라를 약탈하다
세기말까지 이슬람 인구가 세계 전체의 3%로 증가하다
902년 알무타디드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무크타피가 칼리파가 되다
사만 왕조에 패배한 사파르의 두 번째 통치자 아므르 빈 라이스가 바그다드에서 처형되다
타오르미나 요새가 함락되어 무슬림의 시칠리아 지배가 더욱 강화되다
905년 이집트의 툴룬 통치가 종말을 맞이하다
908년 알무크타피가 사망하고 알무크타디르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909년 북아프리카에서 사이드 이븐 후세인이 자신의 최고 선교사령관인 아부 압둘라 알시이의 도움을 받아 아글라브 왕조를 전복하고 파티마 통치를 세우면서 자신의 칭호를 이맘 압드 알라 알마흐디 빌라로 바꾸다. 이 지역에서 쫓겨난 아글라브의 지야닷 알라가 북아프리카에서 수니파 무슬림 통치의 마지막 잔재가 되다
910년 파티마의 통치자 압드 알라 알마흐디가 칼리파를 선언하다
912년 코르도바의 통치자 압달라 이븐 무함마드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압드 알라흐만 3세가 즉위하다
913년 사파르 통치가 종식되고 사만 왕조에 합병되다
카르마티아의 통치자 아부 사이드 잔나비가 암살되다
914년 사만의 통치자 아흐마드가 암살되고 그의 아들 나스르 2세가 계승하다
927년 아부 타히르 휘하의 카르마티아군이 이라크 지방을 침공하다
928년 마르다비즈 이븐 지야르가 타바리스탄에서 지야르 통치를 세우다
아바스조 칼리파 알무크타디르가 쿠데타로 폐위되다
929년 함단의 통치자 압달라 이븐 함단이 살해되고 그의 아들 나시르 알다울라가 계승하다
알안달루스에서 압드 알라흐만 3세가 자신을 코르도바의 칼리파라고 선언하다
930년 카르마티아의 통치자 아부 타히르 알잔나비가 메카를 약탈하고 카바에서 검은 돌을 가져가다
931년 아바스조 칼리파 알무크타디르가 복위하다
932년 알무크타디르가 전사하고 그의 이복동생 알카히르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934년 알카히르가 축출되어 투옥되고 그의 조카 알라디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파티마조 칼리파 알마흐디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카임이 즉위하다
이마드 알다울라가 파르스에서 부와이 왕조를 수립하다
카라한 튀르크의 사투크 부그라 칸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다
935년 총독 무함마드 이븐 투흐지 알이크시드가 이집트에 이크시드 통치를 세우다
루큰 알다울라가 레이를 정복하고 그곳에 부와이 정부를 수립하다
지야르 통치자 마르다비즈가 살해되고 그의 아들 부쉬므기르가 계승하다
936년 쿠데타로 이븐 라이크가 아바스조 칼리파 알라디의 아미르 알우마라(군사 섭정)가 되다
938년 쿠데타를 일으킨 바즈캄이 아미르 알우마라가 되어 바그다드의 권력을 장악하다
940년 아바스조 칼리파 알라디가 사망하고 그의 이복형제 알무타키가 즉위하다
941년 바즈캄이 쿠르드족에게 살해되어 쿠란키즈가 권력을 잠시 장악하지만 이븐 라이크가 재등장하다
942년 이븐 라이크가 암살되어 아부 압달라 알 바리디가 권력을 장악하다
943년 아바스조 칼리파 알무타키가 함단 왕조를 피난처로 삼다. 바그다드로 진격한 나시르 알다울라가 권력을 장악하고 알무타키가 바그다드로 귀환하다. 튀르크 출신의 투준이 권력을 장악하자 나시르가 모술로 물러나다
사만의 통치자 나스르 2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누흐 1세가 계승하다
944년 알무타키는 폐위되어 눈이 멀고, 알무크타피의 아들 알무스타크피가 칼리파로 즉위하다
아부 타히르 알잔나비가 사망하다
945년 투준이 죽고 시르자드가 아미르 알우마라가 되다. 무이즈 알다울라가 권력을 잡고 이라크에 부와이 왕조를 세우다
출처 : 위키피디아
'중동 > 이슬람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 역사 연대표 - 거룩한 전쟁(聖戰) (4) | 2024.03.05 |
---|---|
이슬람 역사 연대표 - 시아파 왕조와 튀르크 술탄국 (2) | 2024.03.02 |
이슬람 역사 연대표 - 세습 왕조의 성립과 황금기 (2) | 2024.02.25 |
이슬람 역사 연대표 - 무함마드와 라시둔 칼리파 시대 (2) | 2024.02.21 |
이슬람 제국 역사 지도 - 3편 라시둔 칼리파 시대 (644-661년) (0) | 2021.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