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ber est quisque fortunae suae" - Appius Claudius Caecus
728x90

고대사142

로마제국의 도시 목록 로마 도시들은 진보된 도시 계획과 건축으로 특징지어졌고, 이는 유럽과 그 너머 도시들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마 도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1. 거리 배치: 로마 도시는 질서 정연한 격자무늬로 유명했다. 두 개의 메인 거리인 카르도(남북)와 데쿠마누스(동서)는 도시의 중심부인 포룸에서 교차했다.2. 포룸: 포룸은 신전, 바실리카, 정부 건물과 같은 다양하고 중요한 건물로 둘러싸인 중심적인 공공 공간이자 시장이었다.3. 수도교: 이 인상적인 구조물은 멀리 떨어진 수원지에서 도시로 신선한 물을 가져오기 위해 지어졌다. 수도교는 로마 공학 기술의 증거이다.4. 원형경기장: 크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야외 경기장은 검투사 경기나 대중을 위한 구경거리와 같은 행사에 사용되었다. 로마의 콜로세움은 가장.. 2024. 6. 1.
로마 도시 계획의 요소 카스트룸로마 제국에서 라틴어 카스트룸"castrum"은 요새화된 군사 진영으로 사용되는 건물이나 토지 구획을 의미했다.카스트룸은 대규모 군단 요새, 더 작은 보조 요새, 임시 야영지, "행군" 요새를 포함한 다양한 규모의 진영에 사용되는 용어였다. 작은 형태의 카스텔룸은 일반적으로 코호르트 또는 켄투리아 분견대가 거주하는 요새에 사용되었다.로마 카스트룸의 가장 기본적인 계획. (1) 프린키피아, (2) 비아 프라이토리아, (3) 비아 프린키팔리스, (4) 포르타 프린키팔리스 덱스트라, (5) 포르타 프라이토리아(정문), (6) 포르타 프린키팔리스 시니스트라, (7) 포르타 데쿠마나(후문). 도로의 첫 번째 유형은 공공 비용으로 건설 및 유지되고 토지가 속주에 귀속되는 공공 고속도로 또는 주요 도로를 포함.. 2024. 5. 30.
브리튼의 로마 도시들 다음은 AD 43년부터 5세기까지 로마 점령 기간 동안 영국의 도시 목록이다.로마의 도시는 라틴어로 "키비타스"라고 알려졌다. 도시는 대부분 로마 관리의 통치를 받는 토착 부족민이 거주하는 요새화된 정착지였다. 목록에 오른 대부분의 도시들은 이전 철기 시대 부족의 수도, 로마 가도의 전략적 정착지, 부족 집단 간의 교역소 또는 때로는 항구이지만, 후자의 둘은 일반적으로 키비타스로 정의되지 않았다. 이 도시 중 소수는 로마에서 기원한 정착지였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곳은 오늘날 바스, 아쿠아이 술리스이다. 현재 잉글랜드 및 웨일스에 있는 63개 도시 중 적어도 26개는 로마 시대에 요새화된 도시이며, 가장 유명한 곳은 로마 브리타니아 속주의 첫 번째 수도였던 오늘날 콜체스터, 카물로두눔과 이후 수도이자 오.. 2024. 5. 28.
고대 그리스 연대표 - 고졸기 (BC 785-481) BC 785년  에레트리아와 칼키스의 에우보이아 그리스인이 피테쿠사이"Pithkousai"(이스키아)에 정착하다777년  칼키스가 쿠마이"Cumae"를 설립하다776년  역사적인 첫 올림픽 경기의 전통적인 연대756년  이오니아인이 키지코스에 정착했다753년  아테네의 아르콘 직위가 10년으로 단축되었다. 카롭스를 시작으로 지배 가문(에우파트리다이)의 구성원이 직위를 소유 (파우사니아스를 기반으로 한 연대)743년  제1차 메세니아 전쟁이 시작되었다 (히에로니무스, 파우사니아스, 디오도로스가 연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이 추정은 디오도로스의 스파르타 왕 목록과 파우사니아스의 전쟁 서술을 기반으로 했다)           에우보이아인이 레기온"Rhegion"을 설립하다 740년경  알크메네스가 스파르타 .. 2024. 5. 27.
게르마니아 원정 (下) - 로마의 보복 비록 학살에 대한 충격은 컸지만, 로마인은 곧바로 재정복을 준비하는 느리고 체계적인 과정에 돌입했다. AD 13년, 아우구스투스는 총 8개 군단, 로마 전체 군사력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라인 강 군대의 사령관으로 게르마니쿠스를 임명했다. 이듬해 8월 아우구스투스가 사망하고, 9월 17일 원로원은 티베리우스를 프린켑스로 추대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다. 그날 원로원은 게르마니쿠스의 진영에 사절단을 보내 조부의 죽음에 애도를 표하고, 그에게 프로콘술라 임페리움을 부여했다. 사절단은 10월이 되어서야 도착했다.게르마니아와 일리리쿰에서는 군단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게르마니아에서 반란을 일으킨 군단은 아울루스 카이키나 휘하의 라인 강 하류 군단들(제5군단 알라우다이, 제21군단 라팍스, 제1군단 게르마니카, 제.. 2024. 5. 20.
게르마니아 원정 (上) - 바루스의 재앙 로마 공화국은 BC 1세기에 급속하게 확장되었는데,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갈리아 전쟁(BC 58-50)에서 서유럽 대부분과 영국 제도 일부를 정복한 율리우스 카이사르 아래였다. 갈리아 전쟁은 대부분 갈리아인과 싸우는 것이었지만, 다양한 게르만 부족과의 싸움도 포함했다. 카이사르는 게르만 부족과 싸우기 위해 두 번이나 라인 강을 건넜지만, 교전은 전술적으로 결론이 나지 않았다. 카이사르의 정복 활동은 카이사르의 내전(BC 49-45)이 가까워지면서 일찍 끝날 수밖에 없었다. 권력 투쟁으로 공화국이 황폐화되면서 유럽 대륙은 갈리아 전쟁 이후 20년 동안 거의 잊혔다. BC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옥타비아누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간의 마지막 대결을 위해 갈리아 땅에 주둔하고 있던 군대가 철수했다. 갈리.. 2024. 4. 25.
라이티아 라이티아는 라이티아 사람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로마 제국의 속주였다. 서쪽으로 헬베티족 정착지, 동쪽으로 노리쿰, 북쪽으로 빈델리키아(빈델리키족의 땅), 남서쪽으로 트란살피나 갈리아, 남쪽으로 로마 이탈리아 지역인 베네티아 에트 히스트리아와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오늘날 스위스 동부와 중부(라인강 상류와 콘스탄츠 호수 포함), 남부 독일(바이에른 및 바덴뷔르템베르크의 대부분), 포어아를베르크 및 오스트리아의 티롤 상당 부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북부의 일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빈델리키아(오늘날 뷔르템베르크 동부와 바이에른 서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나중에 이 속주에 합병되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와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라이티아의 북방 경계는 다뉴브강이었다. 나중에 다뉴브강에서 북쪽.. 2024. 4. 17.
갈라티아 갈라티아는 아나톨리아(오늘날 튀르키예 중부)에 있던 로마 제국의 속주 이름이었다.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단독 통치 BC 30년-AD 14년)가 켈트족 갈라티아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범위로 BC 25년에 설립했으며, 주도는 안키라(오늘날 앙카라)였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사분통치 개혁에 따라 북부와 남부로 분리되어 파플라고니아 속주의 남부와 리카오니아 속주를 형성했다. AD 398년경, 아르카디우스의 통치기에 갈라티아 프리마 속주와 갈라티아 세쿤다 속주, 즉 살루타리스 속주로 나뉘었다. 갈라티아 프리마는 옛 속주의 북동부에 해당하며, 안키라를 주도로 유지하고 집정관급 총독이 이끄는 곳이었다. 살루타리스는 옛 지방의 남서부 절반을 차지했으며, 페시누스에 자리 잡은 프라이세스(최하급 총독)가 이끄는 곳이었다. .. 2024. 4. 16.
흉노(匈奴) 연대표 BC 209년부터 AD 89년까지 고대 동부 유라시아 대초원을 지배했던 유목민족 흉노의 연대표이다. 흉노는 삼국시대 이후인 AD 3세기 후반 중국 북부에 정착하여 439년 북량(北涼)이 선비(鮮卑)의 북위(北魏)에 정복될 때까지 지속되는 여러 나라를 세웠다. BC 318년 흉노가 한(韓), 조(趙), 위(魏), 연(燕), 제(齊)와 결탁하여 진(秦)을 공격하다 BC 265년 조-흉노 전쟁: 조의 이목(李牧)이 흉노를 매복으로 끌어들여 물리치다 BC 215년 진의 흉노 원정: 몽염(蒙恬)이 흉노를 격파하고 오르도스 지역을 정복하다 BC 209년 묵돌선우가 흉노를 장악하고 오환(烏桓)과 선비(鮮卑)가 되는 동호(東胡)를 격파하다 BC 203년 묵돌선우가 월지(月氏)를 격파하다 BC 200년 한신(韓信)이 흉.. 2024. 2. 19.
기독교 연대표 - 초기 기독교 공의회 시대 325년 콘스탄티누스는 기독교 통합을 위해 히에로니무스가 최초의 위대한 기독교 공의회라고도 칭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첫 공의회에서 니케아 신조를 포고했지만, 아리우스, 테오나스파, 프톨레마이스의 세쿤두스, 니코메디아의 유세비우스, 니케아의 테오그니스와 같은 비삼위일체론자들에게 거부당하자 그들을 파문했으며, 부활절 논란을 다루고 예루살렘에 특별한 인정을 부여한 교법 VII과 같은 20개의 교법을 통과시켰다. 325년 5월 20일-6월 19일 제1차 니케아 공의회 325년 악숨 왕국(오늘날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이 기독교를 공식 국교로 선포한 두 번째 국가가 되다 325년 콘스탄티누스가 명을 내려 베들레헴의 예수탄생기념교회를 세우다 326년 11월 18일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사도의 무덤 위에 .. 2024. 2. 3.
기독교 연대표 - 니케아 공의회 이전 시대 100-150년? 야고보 외경, 막달라 마리아 복음서, 야고보 복음서, 도마의 유아기 복음서, 마가의 비밀 복음서 (전편 복음서, 예수 세미나 발간) 110-130년?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파피아스가 "주님의 말씀 강해"를 쓰고 분실되었으나, 널리 인용되다 (사도 교부들) 110년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가 스미르나 인들에게 기독교 교회가 카톨리코스("보편적")라고 쓰다 110-160년? 스미르나의 주교 폴리카르포스, 필립포이 인들에게 보낸 서신 (사대 교부들) 112년 소 플리니우스가 비티니아에서 기독교의 급속한 성장을 보고하다 120년? 랍비 타르폰이 복음서를 불태우는 것을 지지하다 125(+/-5)년? 베드로후서가 기록되었지만 400년대 초까지 정경으로 인정되지 않다. 유다서, "카톨릭" 서신, 목회.. 2024. 2. 1.
기독교 연대표 - 사도 시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니산월 14일 또는 15일)과 부활 직후, 예루살렘 교회는 약 120명의 유대인과 유대교 개종자(사도행전 1:15)가 있는 최초의 기독교 교회로 세워졌으며, 오순절(시완월 6일), 아나니아와 삽비라 사건, 바리새인 가말리엘이 사도들을 변호한 일(행 5:34-39), 스데반 집사가 돌에 맞아 죽임을 당하고 사도들이 흩어짐(행 7:54-8:8), 사마리아에서 마고스 시몬(행 8:9-24)과 에티오피아 환관(행 8:26-40)이 세례를 받은 일이 뒤따랐다. 바울이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서 "이방인들에게 보내는 사도"로 개종한 것은 사도행전 9:13-16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다. 갈라디아서 1:11–24 참조. 베드로는 전통적으로 최초의 이방인 개종자로 여겨지는 로마의 백부장 코르넬리우.. 2024. 1. 29.
기독교 연대표 - 초림 시대 이 연대표는 현시대(AD)의 시작부터 기독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연대의 물음표('?')는 대략적인 연도를 나타낸다. 1년은 현재 전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그레고리력과 일치하는) 사용되는 기독교 달력(0년은 없음)의 첫 해이다. 전통적으로 이 해는 예수가 태어난 연도로 여겨졌지만,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은 더 이전 혹은 더 이후의 연대를 주장하며, 가장 많이 동의하는 연대는 BC 6년에서 BC 4년 사이이다. AD 6년 아우구스투스가 헤로데 아르켈라오스를 폐위하여 사마리아, 유대, 이두메아(에돔)를 로마의 직접 통치하에 있는 유다이아 속주로 합병하고, 카이사레아를 주도로 삼다. 퀴리니우스가 시리아의 레가투스(총독)가 되어 열심당의 반대를 받는 인구조사를 실시하다(고대 유대사 18, 누가복음 .. 2024. 1. 27.
역대 로마 황제 (BC 27-AD 476) - 2편 군인 황제 시대 원수정 시대 BC 27-AD 284년 다섯 황제의 해 (193년) 페르티낙스 이름 : 푸블리우스 헬비우스 페르티낙스 아우구스투스, 프라이펙투스 우르바누스(도시 행정관)재위 : 193년 1월 1일-3월 28일 (2개월 27일)출생 : 126년 8월 1일 알바 폼페이아, 푸블리우스 헬비우스 페르티낙스사망 : 193년 3월 28일 로마, 근위대에 살해됨, 66세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이름 : 마르쿠스 디디우스 세베루스 율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경매로 황제에 오름재위 : 193년 3월 28일-6월 2일 (66일)출생 : 133/137 1월 29일 메디올라눔, 마르쿠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사망 : 193년 6월 2일 로마, 궁전에서 병사에게 살해됨, 56/60세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이름 : 가이우스 페스켄니우스 니게.. 2023. 5. 15.
역대 로마 황제 (BC 27-AD 476) - 1편 팍스 로마나 (Pax Romana) 원수정 시대 BC 27-AD 284년 율리우스-클라우디스 왕조 (BC 27-AD 68년) 초대 아우구스투스 이름 :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재위 : BC 27년 1월 16일-AD 14년 8월 19일 (40년 7개월 3일)출생 : BC 63년 9월 23일 로마, 가이우스 옥타비우스사망 : 14년 8월 19일 놀라, 자연사, 76세 2대 티베리우스 이름 : 티베리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아우구스투스의 의붓아들재위 : 14년 9월 17일-37년 3월 16일 (22년 5개월 27일)출생 : BC 42년 11월 16일 로마,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사망 : 37년 3월 16일 미세눔, 자연사, 77세 3대 칼리굴라 이름 : 가이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 티베리우스의 종손재위 : 37년 3월 18.. 2023. 5.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