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ber est quisque fortunae suae" - Appius Claudius Caecus
그외 이야기/이것저것

경제의 역사 - 기원

by 금곡동로사 2025. 10. 26.
728x90

BC 8500-BC 560년


BC 8500년부터 세계 여러 지역에서 사람들은 새로운 생계 수단을 발명했다. 농업과 목축업이 점차 채집과 사냥을 대체하고 사람들은 정착했다.

 


BC 8500년에서 2500년
농부와 목축업자의 출현

2003년 프랑스 오브보예에서 발견된 BC 4800년경의 황소 모양 꽃병 - 출처 : De Agostini Picture Library

2003년 프랑스 오브보예에서 발견된 BC 4800년경의 황소 모양 꽃병 - 출처 : Hervé Paitier

 

BC 8500년경 중동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 BC 7500년경 중국, 그리고 BC 3500-2500년경 아메리카에서 처음 나타났다.

농업과 목축업은 중동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처음 출현했지만, 중국과 북미 및 남미에서도 등장했다. 이후 "신석기시대 혁명"은 이 지역에서 모든 대륙으로 퍼져나갔다. 중동에서 재배된 농작물은 예를 들어 BC 6500년에 그리스에 도달했고, 그 후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었다.

사람들은 전통적인 사냥, 낚시, 채집 활동에 비해 농업과 가축 사육의 경제적 이점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들은 점차 수렵채집 생활을 버리고 정착하기 시작했으며, 인구 밀도가 높아지고 무역 기회도 확대되었다.


BC 3500년
바퀴의 발명

BC 4천년기 메소포타미아의 우르 바퀴는 나무 원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였다. - 출처 : 밀라노 국립과학기술박물관

 

바퀴는 BC 4천년기 하부 메소포타미아(오늘날 이라크)에서 발명되었으며, 수메르 사람들은 단단한 나무 원판에 회전축을 삽입했다. BC 2000년이 되어서야 원판의 속을 파서 더 가벼운 바퀴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혁신은 두 가지 주요 분야에서 큰 발전을 가져왔다. 첫째, 운송 수단으로 바퀴가 수레와 전차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둘째, 더 중요한 것은 농업(짐승 수레, 작물 관개)과 수공업(예를 들어 바퀴의 원심력이 풍차의 기본 원리인 점)의 기계화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BC 3300년
대출과 문자의 등장, 처음에는 회계에 사용되었다

BC 2600년경 땅과 집 매매에 관한 수메르 계약서. 슈루팍(오늘날 이라크), 설형문자 비문 - 출처 : 루브르 박물관 오리엔트 유물부

 

중동의 수메르(BC 3300년)에서 문자가 출현했고, 이집트(BC 3000년), 중국(BC 1300년), 멕시코(BC 600년)에도 문자가 등장했다.

문자는 모두 초기 단계부터 농사와 축산을 시작한 네 문명인 중동의 수메르, 이집트, 중국, 멕시코에서 나타났다.

실제로, 농업과 축산은 서로 다른 경제 주체들이 저장물 외에 거래할 수 있는 잉여물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일부 사회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중앙집권적인 정치 기관의 등장과 맞물려 나타났고, 이로 인해 문자가 등장하고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특히 회계 및 대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문자는 이러한 중심지에서 무역을 통해 전 세계로 점진적으로 확산되었다.


BC 3000년
최초의 도시들의 등장

사카라에 있는 카엠레후 무덤에서 발견된 BC 2465년경-2323년경의 부조는 상인과 고객을 묘사하고 있다. 한 남자는 저울을 사용하고 있고 다른 남자는 메모를 하고 있다 - 출처 :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비옥한 초승달 지대로 알려진 중동 지역에서 최초의 도시들이 등장했다(유럽은 BC 1200년경).

이 도시들은 제한된 지역에 대규모 인구를 수용했다. 이곳에서 더 정교한 사회적, 정치적 계층 구조를 형성했고, 노동력은 농업 활동과 도시 활동, 특히 수공업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추산에 따르면 이들 중 일부는 인구가 최대 50,000명에 달했다.

도시의 출현을 촉진한 세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토지 경작을 위한 정착인구 증가, 작물 수확량을 늘려 저장 및 거래를 위한 잉여 생산을 가능하게 한 농업 기술의 발전, 경작지에서 도시로 상품을 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한 운송 기술과 경로의 개선이다.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 살면서 생활 방식과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관계에 심오한 변화가 일어났다. 프랑스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은 "도시란 전기 변압기와 같다. 도시는 긴장을 고조시키고, 교류의 리듬을 가속화하며, 인간의 삶을 끊임없이 재충전한다"라고 썼다(문명과 자본주의, 1967).

 

728x90

 

BC 1700년
바빌론(메소포타미아) 최초의 민법 및 상법

함무라비 법전 석비

1901년에 발견된 검은 현무암 석비인 함무라비 법전은, 글자가 새겨져 있고 그 위에 부조가 있으며, 인류 사회의 입법 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초기의 증거 중 하나이다. 이 석비는 메소포타미아의 바빌론 왕 함무라비 시대에 만들어졌다. 당시 바빌로니아 사회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282개의 법률이 담겨 있다. 이 민법과 상법 조약은 천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이를 베껴 쓴 서기관 학교의 참고 자료가 되었다.

 


BC 1300년
카우리 조개, 화폐의 한 형태

카우리 조개껍질 - 출처 : 프랑스 은행

현 시대 훨씬 이전에는 카우리 조개가 지불 수단으로 사용되어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화폐적 사용은 20세기까지 이어졌다. 두 가지 주요 품종이 내구성, 편의성, 분할성 및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폐에서 기대할 수 있는 모든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부패하기 쉬운 식품이나 해충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는 깃털과 비교하면 카우리 껍질은 잦은 취급에도 견딜 수 있고 크기가 작아 운반하기 쉽다.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기 때문에 수량을 세거나 단순히 무게를 측정하여 지불 금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조개 화폐는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심지어 유럽의 특정 지역에서도 통용되었다. 화폐로 사용된 가장 오래된 흔적은 BC 13세기 중국에서 발굴된 청동 유물에서 찾을 수 있다. 한편, 경제적 의미가 강한 특정 단어(예: 돈, 주화, 구매, 가치)를 나타내는 한자도 조개와 비슷하다.

 


BC 800년에서 400년
유대교의 경제 원칙

1398년 피사에서 제작된 토스카나의 여행하는 올리브 오일 ­상인. 히브리어 성서 출애굽기 - 출처 : 베니스 유대인 박물관

 

BC 8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쓰인 성서들은 그 안에 묘사된 공동체의 경제­ 생활에 대해 여러 차례 언급한다. 성서는 지상의 부, 즉 노동을 통해 얻은 것­을 신의 축복으로 제시하지만, 부유한 사람들에게는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의무를 포함한 여러 책임­을 부여하는 축복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성스러운 유대교 경전은 신자들 간의 대출에 이자를 부과하지 못하도록 금지하고 있는데, 이는 가난한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부자들이 재산에서 한 발 물러서도록 장려하기 위함이 분명하다. 성서에 따르면 7년 또는 50년 후에 빚을 탕감해 주고 노예에서 해방해 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다른 구절에는 공정한 가격이나 적정 수준의 이윤이 얼마인지와 같은 거래에 대한 윤리적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BC 600년에서 560년
금속 주화의 탄생

BC 550-520년경에 주조된 리디아 금화(앞면) - 출처 : 프랑스 은행

리디아 왕 알리아테스와 그의 전설적인 아들 크로이소스는 표준화되고 인증된 금속 주화를 발행한 최초의 통치자 중 한 명이다.

조개껍데기와 같은 다른 물건들뿐만 아니라 금, 은 또는 구리도 오래전부터 화폐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화폐는 쉽게 나누고 운반할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상당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리디아의 왕들, 특히 그의 재산으로 유명해진 크로이소스를 포함한 왕들은 통일되고 인증된 무게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엘렉트럼(금과 은의 자연 발생 합금)으로 만든 주화와 이후 크로이소스 주화로 알려진 금이나 은으로 된 콩 모양의 주화를 만들었다.

동시에 그들은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사용된 금속의 양보다 더 높은 액면가를 주화에 부여함으로써 이러한 화폐 발행에서 수입을 얻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