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ber est quisque fortunae suae" - Appius Claudius Caecus
종교 이야기/바이블

에녹

by 금곡동로사 2021. 3. 8.
728x90

창 5:24 에녹을 데려가시는 하나님, by Gerard Hoet, 1728년

 

에녹은 노아 홍수 이전의 성서 인물이자 야렛의 아들이자 므두셀라의 아버지이다. 에녹과 가인의 아들 에녹은 동명이인이다(창 4:17, 5:18).

 

창세기의 본문은 에녹이 하나님이 데려가기 전 365년을 살았다고 말한다. 본문은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 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창 5:21-24)라고 쓰여 있는데 유대교와 기독교에서는 에녹이 살아서 천국에 들어간 것으로 해석한다.

 

에녹은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많이 다루어진다. 그는 에녹서의 저자로 여겨졌고 또한 에녹을 심판의 서기로 불렀다. 신약에는 셋의 혈통으로 난 에녹에 대한 세 가지 언급이 있다(눅 3:37, 히 11:5, 유 1:14-15).

 

 

창세기의 에녹

 

에녹은 모세오경의 창세기에서 홍수 심판 이전 아담의 6대손으로 등장한다. 창세기는 홍수 이전의 족장들 각각이 수세기 동안 살았다고 기록했다. 창세기 5장은 아담에서 노아까지 10대의 족보를 제공하며 각 인물이 다음 인물의 아버지가 된 나이와 각 인물의 사망 연령을 제공한다. 에녹은 "죽음을 보지 않고"(히 11:5)라고 말하는 예외로 많은 사람들에게 간주되었다. 더욱이 창 5:22-24에서는 에녹이 365년을 살았는데 이는 700세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된 그의 동배들보다 짧다. 창세기 5장의 에녹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하나님이 그를 데려 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라는 기록으로 끝난다.

 

728x90

 

기독교에서의 에녹

 

신약 성서

 

첫 번째는 누가복음(눅 3:37)에 예수의 조상들의 족보 중 하나로 간략하게 언급되었다.

 

두 번째 언급은 히 11:5에 있다. "믿음으로 에녹은 죽음을 보지 않고 옮기웠으니 하나님이 저를 옮기심으로 다시 보이지 아니하니라 저는 옮기우기 전에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자라 하는 증거를 받았느니라" 이것은 그가 창 5:24에서 말한 "에녹이 하나님과 동행하더니 하나님이 그를 데려 가시므로 세상에 있지 아니하였더라"와 일치하며 아담의 다른 후손들과 같은 필멸의 죽음을 경험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세 번째 언급은 유다서(1:14-15)에서 기자가 가톨릭과 개신교의 구약에서 찾을 수 없는 구절인 "아담부터 7대인 에녹"의 예언을 인용했다. 이 인용문은 대부분의 현대 학자들이 그리스어, Ge'ez(에티오피아 정교회 정경의 일부) 및 사해 두루마리 중 아람어로 존재하는 에녹 전서 1:9에서 가져온 것으로 생각한다. 학자들은 에녹 전서 1:9 자체는 신명기 33:2에 나오는 "일만 성도 가운데서 강림하셨고"라고 한 말씀의 일부인 것으로 인식했다.

 

신약에서 에녹은 경건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이 그분의 거룩한 사람들과 함께 오셔서 그들을 심판하고 정죄하실 것이라고 예언했다(유 1:14-15).

에녹, by 윌리엄 블레이크, 1807년
족장 에녹을 그린 프레스코화, by 비잔틴 그리스의 테오파니스, 14세기 / 엘리야와 에녹, 17세기, 폴란드 사노크

 

기독교에 미친 영향

 

기독교 초기에는 교회에서 정경이 아직 확정적으로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에녹서를 신성한 영감을 받은 문헌으로 사용하는 것이 널리 퍼졌다. 유스티노 순교자, 아테네의 아테나고라스, 이레네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오리게네스, 테르툴리아누스, 락탄티우스와 같은 교부들은 모두 에녹을 높이 평가하며 에녹서에 대한 많은 암시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에녹서를 성경으로 사용하도록 명시적으로 옹호하는 경우도 있었다. 유다가 에녹서를 예언적 문헌으로 인용한 덕분에 기독교계 초기에는 에녹서를 수용하고 사용하도록 장려했다. 인류의 타락을 연구한 사람들에 의해 초기 문학에서 에녹은 ​주요 주제로 흔히 언급되었다. 에녹서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인 대우는 초대 교회에서 유행했던 천년왕국과 관련이 있다. 기독교에서 무천년주의가 일반화되기 시작했을 때, 무천년주의와 양립할 수 없는 에녹서는 널리 거부되기 시작했으며 5세기에 카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가 분리되면서 에녹서의 사용은 주로 동방 정교회로 제한되었다. 결국 에녹서의 사용은 동방 정교회의 에티오피아 계열에만 국한되었다. 다마스쿠스의 요한과 같은 일부 교부들이 언급한 또 다른 공통 요소는 그들이 에녹을 요한 계시록에 언급된 두 증인 중 한 사람으로 여겼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오늘날 기독교에서 여전히 많은 지지자들을 가지고 있다.

 

 

 

출처 : 위키피디아

728x90

'종교 이야기 > 바이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서 연대표 - 아담에서 대홍수  (0) 2023.01.19
유대력에 따른 성서 연대표  (0) 2023.01.17
노아  (0) 2021.07.21
므두셀라  (0) 2021.03.09
아담  (0) 2021.03.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