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ber est quisque fortunae suae" - Appius Claudius Caecus
로마 이야기/도시로마

플라미니아 가도/라타 가도 지역

by 금곡동로사 2021. 5. 10.
728x90

콜론나 광장에 서 있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원주
가도 주변의 건축물을 가리키는 지도

 

 

플라미니아 가도를 가리키는 사진

플라미니아 가도는 BC 200년에 건설된 위대한 로마의 도로로, 로마와 아드리아 해를 잇는다. 플라미니아 가도는 로마의 북쪽 출입구였다. 전경에는 아우렐리아누스 성벽과 포르타 플라미니아가 있다. 왼쪽에 있는 언덕은 핀키우스이다.

 

 

 

왼쪽부터 네로 무덤, 도미티우스 정원

포르타 플라미니아를 통과하면 왼쪽에 황제의 유해를 담았어야 할 거대한 건축물인 네로의 무덤(세풀크룸 네로니스)에 방문자들은 이끌렸다. 무덤과 가까이에 네로의 아버지 측 가문의 거대한 구조물인 도미티우스 정원이 있었다. 정원은 핀키우스 언덕 기슭을 뒤덮었다. 플라미니아 가도를 따라 다양한 모양의 수많은 무덤이 있으며 그중 피라미드 형태도 있었다.

 

더 가까이에서 본 도미티우스 정원

 

 

라타 가도의 베스파시아누스의 아치. 베스파시아누스에 의해 세워졌을지도 모르는 이 아치는 안토니누스 아래에 재건되었다. "포르투갈의 아치"라고 불리는 이 건축물은 1662년 교황 알렉산데르 7세에 의해 파괴되었다. 종종 "하드리아누스의 아치"로도 알려져 있다.

 

 

 

하드리아누스 아치 아래를 통과한 직후 왼쪽에서 처음 만나는 중요한 기념물 중 하나는 아우렐리아누스 황제가 팔미라의 여왕인 제노비아를 제압한 후 275년에 세운 것으로 여겨지는 태양의 신전이다. 두 개의 반원형의 끝자락은 매우 특이한 신전으로 만들었다. "에메시스 태양의 신은 로마에게 승리를 안겨주기 위해 그의 성소를 떠났다"라고 아우렐리아누스는 선언했을 것이다. 그리스 문화에 의해 정화된 오리엔트의 신 바알과 함께, 아우렐리아누스는 로마인의 신을 창조했다. 이는 이교도의 유일신 사상에 대한 유일한 접근이었다. 이 신전은 풍요로움과 보물로 유명했다. 거대한 주랑 현관인 태양의 포르티코가 신전과 연결되어 있었다.

 

 

 

더 가까이에서 본 태양의 신전. 왼쪽에 멋진 주랑 현관이 있었다.

 

 

 

태양의 신전 맞은편 플라미니아 가도 건너편에 아우구스투스의 평화 제단이 있었다. 사진 중앙에 두 주랑 현관 사이에서 식별할 수 있다. BC 9년에 개관한 아라 파키스 아우구스타이는 갈리아와 스페인에서의 아우구스투스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이 직사각형 모양의 기념물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예술을 대표했다. 오늘날 아라 파키스는 아우구스투스 영묘 가까이로 옮겨졌고, 그곳을 방문하는 것은 잊을 수 없는 경험이 될 것이다.

 

 

 

다른 각도에서 본 아우구스투스의 평화 제단. 전경의 태양 시계와 사진 상단의 플라미니아 가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 맞은편에 보이는 거대한 건물은 인술라이일 수 있다.

 

 

 

왼쪽부터 클라우디우스의 아치, 비르기니스 아치

클라우디우스의 아치는 52년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브리타니아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아쿠아 비르고는 클라우디우스 아치를 통해 라타 가도를 가로질렀다. 이시스의 신전 바로 앞의, 또 다른 아치인 비르기니스 아치도 수도교가 통과했다.

 

 

 

아르쿠스 노부스를 가리키는 사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아르쿠스 노부스. 이 아치는 황제의 통치 20년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1491년에야 파괴되었다.

 

 

 

사진의 중앙에 있는, 라타 가도에 있는 중요한 건물은 빌라 푸블리카일 수 있다. 아우구스투스 이전에는 선거 회의를 위한 장소였다. 이 복합건물은 나중에 로마 바깥에서 온 고위 인사들을 접견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다. 사진의 맨 위에 Arx 성채가 보인다.

 

 

오늘날 아우구스투스의 평화 제단의 모습
클라우디우스의 아치를 설명한 그림 / 비르기니스 아치의 상상도
로마와 아드리아 해를 연결한 플라미니아 가도(흰색)를 나타낸 위성 사진, 플라미니아 노바 가도(연분홍색)

 

 

출처 : maquettes-historiques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