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ber est quisque fortunae suae" - Appius Claudius Caecus
로마 이야기/로마속주

갈리아 벨기카

by 금곡동로사 2021. 8. 6.
728x90

카이사르의 정복 전 갈리아의 구분 지도. 갈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벨가이

 

갈리아 벨기카("벨기에 갈리아")는 오늘날 주로 프랑스 북부,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독일의 일부에 해당하는 로마 갈리아의 북동부에 위치한 로마 제국의 속주였다.

BC 50년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 중 정복한 이후 이곳은 갈리아의 세 지역(트레스 갈리아이) 중 하나가 되었고, 나머지 두 지역은 갈리아 아퀴타니아와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이다. 공식적인 로마의 속주는 나중에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BC 22년에 설립되었다. 이 속주는 이 지역에서 가장 큰 부족 연합인 벨가이의 이름을 따왔지만 트레베리족, 메디오마트리키족, 레우키족, 세콰니족, 헬베티족과 그 외 영토도 포함되었다. 마른 강과 센 강에 의해 형성된 벨기카의 남쪽 경계는 카이사르가 구분한 벨가이와 켈트 갈리아 사이의 문화적 경계로 보고되었다.

속주는 여러 번 재조직되었고, 처음에는 늘어났다가 나중에는 크기가 줄어들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북동부 키비타스 툰그로룸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라인란트 콜로니에 포함시켰고, 갈리아 벨기카의 나머지 부분은 룩셈부르크와 아르덴 주변의 트레베리족, 메디오마트리키족, 레우키족의 동쪽 지역에 있는 벨기카 프리마와 영국 해협과 뫼즈 강 상류 사이의 벨기카 세쿤다로 분할되었다.


벨기카 프리마의 주도 트리어는 서로마 제국 말기의 중요한 수도가 되었다.

 

 

로마의 정복

 

BC 57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북부 정복을 이끌었고, 이미 센 강과 마른 강의 북쪽에 벨가이로 알려진 민족이나 동맹이 거주했다고 명시했다. 이 정의는 후대의 로마 속주 벨기카의 기초가 되었다. 카이사르는 벨가이족이 "언어, 관습, 법률"(린구아, 인스티투티스, 레기부스)에 의해 남쪽의 켈트 갈리아와 분리되어 있다고 말했지만, 일부 벨가이족에게 게르마니아라고 불렀던 라인 강 동쪽에서 넘어 온 조상이 있다는 사실과 같은 그가 접촉을 통해 알게 된 것을 언급한 것 외에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 실제로 그는 라인 강에 가장 가까운 벨가이 부족들을 게르마니 키스레나누스로 구별했다. (스트라본은 언어, 정치, 생활 방식에서 켈트족과 벨가이족의 차이는 작다고 말했다) 현대 역사가들은 카이사르와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벨가이 연합의 핵심이 현재의 프랑스 최북단 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수에시오네스족, 비로만두이족, 암비아니족뿐만 아니라 아마도 그 지역에 살았던 이웃들 중 일부를 카이사르는 벨기움 또는 벨기카라고 밝혔다. 이들은 그에게 맞섰던 초기 군사 연합의 지도자였고, 그들은 또한 네르비족과 게르마니 키스레나누스족과 같은 더 북쪽에 있는 연합들보다 경제적으로 더 발달되어 있었다.(따라서 카이사르의 방식에 따르면 덜 "게르만적" 이다)

남부 레미족을 제외하고, 모든 벨가이 부족은 겨울 동안 자신들의 영토에 군단을 주둔시키기로 한 로마의 결정에 분노하여 로마에 맞서 연합했다. 분쟁 초기에 카이사르는 수에시오네스의 왕 갈바가 이끄는 연합군의 병력을 28만 8천 명으로 기록했다. 벨가이 연합군의 규모와 비범한 용맹에 대한 평판 때문에, 카이사르는 전투에서 부족 연합군을 만나는 것을 피했다. 대신, 그는 기병을 이용하여 소규모 부족 부대들과 교전을 벌였다. 카이사르는 부족 하나를 고립시켰을 때만 전통적인 전투를 감수했다. 부족들은 개별적으로 무너졌고 카이사르는 주변 부족들의 위협으로부터 로마를 보호하는 것을 포함하여 패배한 사람들에게 관대한 조건을 제시했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부족은 조건에 동의했다. BC 57년의 정복 이후 일련의 반란이 일어났다. 가장 큰 반란은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가 패배한 후 벨로바키족이 주도했다. 이 반란 동안 직접적인 충돌을 피한 것은 벨가이였다. 그들은 카이사르가 직접 이끄는 로마 군단을 기병대와 궁수들로 괴롭혔다. 로마군에 대한 벨로바키족의 매복이 실패한 후 반란은 진압되었다. 반란군은 학살당했다.

 

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의 갈리아 벨기카 지도(1594년)
아우구스투스의 속주 재편에 따른 분할

 

아우구스투스 치하의 형성

 

BC 27년 이 지역에 대한 인구 조사에 따라, 아우구스투스는 갈리아 지방의 재편성을 명령했다. 그러므로, BC 22년에 마르쿠스 아그리파는 갈리아(또는 갈리아 코마타)를 세 지역(갈리아 아퀴타니아,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갈리아 벨기카)으로 분할했다. 아그리파는 언어, 인종, 공동체에서 구별되는 것으로 인식한 부분을 구분했다. 갈리아 벨기카는 켈트족과 게르만족이 혼합된 곳이었다. 지리학자 스트라본에 따르면, 이 영토의 주도는 랭스였지만, 후에 주도는 오늘날의 트리어로 옮겨졌다. 이동 날짜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현대 역사가들은 '갈리아'라는 용어와 그 구획을 '잘못된 민족지학의 산물'로 보고 갈리아 코마타를 세 지방으로 분할한 것은 문화적 분열이 아닌 보다 효율적인 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시도로 본다. 연이은 로마 황제들은 갈리아 벨기카의 사람들을 로마화 하는 것과 기존의 문화가 살아남도록 허용하는 것 사이에서 균형을 잡았다.

로마인은 이 속주를 일반적으로 고대 부족의 경계에 해당하는 4개의 "키비타테스"로 나누었다. 이 지구들의 중심 도시들은 현대의 꺄쎌(메나피족의 키비타스 투르네가 대체), 바베(네르비족 키비타스 캉브레/껑브헤가 대체), 떼후안느, 아라스, 생캉탱/쎙껑땅, 수아송, 랭스/라임스, 보베, 아미앵, 통게렌, 트리어, 툴/뚤, 메스를 포함했다. 이 키비타테스는 차례로 더 작은 단위인 파기(pagi)로 나뉘었는데, 이 용어는 프랑스어 페이("pays", 지방, 고장)가 되었다.

로마 정부는 랭스나 트리어에 있는 콘킬리아(민회)가 운영했다. 또한, 갈리아 벨기카의 지역 유명 인사들은 일반적으로 황제의 특별한 재능을 기리거나 숭배하는 루그두눔(현재 리옹)에서 열리는 축제에 참여하도록 요구받았다. 지역 엘리트들의 점진적인 로마식 이름 채택과 지방 정부 하에서 로마화 된 법률이 이 콘킬리움 갈리아룸(갈리아 민회)의 효과를 입증한다. 즉, 갈리아 벨기카의 개념과 공동체는 로마 속주보다 앞선 것이 아니라 그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도미티아누스의 개편에 따른 갈리아 속주
150년경 카우키족이 살던 지역
3세기의 위기, 271년경 분열된 제국의 모습. 갈리아 제국(녹색), 로마 제국(주황색), 팔미라 제국(노란색)
400년경 갈리아이 관구의 벨기카 I(프리마), 벨기카 II(세쿤다)

 

황제들의 치세 아래에서

 

도미티아누스의 개편 (90년 경)

 

AD 1세기 동안 (AD 90년으로 추정) 갈리아 속주가 재정비되었다.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라인 강의 군사화된 지역을 이 지역의 민간 인구와 분리하기 위해 속주를 재정비했다. 갈리아 벨기카의 북동부가 분리되어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로 개명되었다가 나중에 게르마니아 세쿤다로 재편성되었다. 여기에는 오늘날 벨기에의 동부, 네덜란드의 최남단, 그리고 독일의 일부가 포함된다. 동부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독일 서부 일부와 프랑스 동부)가 되었고 갈리아 벨기카의 남쪽 경계는 남쪽으로 확장되었다. 새로운 갈리아 벨기카에는 카마라쿰(캉브레), 네메타쿰(아라스), 사마로브리바(아미앵), 두로코르토룸(랭스), 디비도룸(메스), 그리고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트리어)이 포함되었다.

 

카우키족의 공격 (173년)

 

173년 당시 갈리아 벨기카의 총독이자 나중에 황제가 되는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는 오늘날 네덜란드 북부와 독일의 북서 해안에서 바덴 해 연안을 따라 살았던 게르만 부족인 카우키족의 심각한 침략을 격퇴해야 했다. 이 공격은 스헬더(에스꼬) 강의 배수 유역(현재 플랑드르와 에노)에서 발생했다. 고고학자들은 투르네 근처의 대규모 농장과 헨트 근처의 벨제케 마을을 버려야 했다는 증거를 발견했다. 또한, 이전의 부족들 아트레바테스, 모리니와 네르비의 수도인 네메타쿰(아라스)은 불타버리고 콜로니아 모리노룸(떼후안느)과 바가쿰 네르비오룸(바베)은 2세기 후반에 재건되어야 했다.

 

728x90

 

3세기의 위기와 갈리아 제국

 

3세기의 위기와 제국의 분할로 3세기에 로마의 갈리아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260년 포스투무스는 분리된 갈리아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그는 프랑크족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274년에야 샬롱 전투에서 새 황제 아우렐리아누스가 로마의 지배를 회복했다. 결국 이 패배의 대가는 매우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갈리아군이 패배하고 라인 국경으로 돌아가지 않은 가운데 프랑크족은 이웃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속주를 점령했다. 라인란트(리푸아리 프랑크족에게)와 라인 강 사이 지역과 불로뉴와 쾰른 사이의 주요 도로 사이, 오늘날 자위트홀란트, 제일란트, 플랑드르, 브라반트, 림뷔르흐, 그리고 현재의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마지막 세 지역(살리 프랑크족에게)은 사실상 로마 제국에서 영원히 상실되었다. 이로써 살리 프랑크족이 약 130년 후인 406년의 참담한 라인 강 횡단을 시작으로 갈리아 벨기카 속주의 전 지역을 정복하고 서구 문명의 첫 번째 직접적인 선구자 국가인 메로빙거/메로베우스 왕국을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을 갖게 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개혁 (300년경)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300여 개의 속주를 재정비하고 벨기카를 벨기카 프리마와 벨기카 세쿤다의 두 개 속주로 나누었다. 벨기카 프리마는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트리어)을 중심 도시로 가지고 있었으며, 동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벨기카 프리마와 벨기카 세쿤다의 경계는 대략 뫼즈 강을 따라 있었다.

 

4세기의 번영

 

갈리아 벨기카의 동부, 특히 모젤 계곡은 4세기에 매우 번성하게 되었고, 특히 아우구스타 트레베로룸(트리어)이 서로마 제국의 수도였던 수십 년 동안 더욱 번영했다. 로마 시인 아우소니우스는 모젤에 유명한 시를 썼다.

 

186-200년 사이에 건축된 갈리아 벨기카 속주의 주도 트리어에 있는 포르타 니그라 / 벨기에의 로마 가도

 

게르만의 정복 (406년 이후)

 

이미 바타비아에 살고 있던 약 350명의 살리 프랑크족이 톡산드리아에 정착했다. 톡산드리아는 현재 켐픈(Kempen)으로 알려진 지역과 상당 부분 겹칠 가능성이 크다.

결국 406년, 반달족, 알라니족, 수에비족 사이의 큰 연합군이 훈족의 거대한 압력에 의해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쾰른 근교에서 리푸아리 프랑크족에게 패배한 후 오늘날의 코블렌츠 근교에서 라인 강을 건너 모젤 계곡을 거쳐 갈리아 벨기카로 진입했다. 그들은 이후 갈리아 벨기카의 많은 지역을 파괴한 뒤 히스파니아(현재의 스페인)로 이동했다. 이 침공과 그에 수반되는 광범위한 파괴는 적어도 갈리아 벨기카 북부에서 로마 권력의 근간을 무너뜨렸다. 이 침공 이후 프랑크족은 260년에서 406년 사이에 로마 방위 전략의 중추였던 쾰른과 불로뉴 사이의 매우 중요한 주요 도로인 벨기카 가도 남쪽의 귀중한 농경지를 정복할 수 있었다.

452년, 센 강과 모젤 강 사이의 카탈라우눔 들판에서 큰 전투가 벌어졌다. 로마군, 서고트족, 프랑크족 연합군은 전설적인 훈족의 지도자 아틸라가 이끄는 군대와 싸웠다. 이 전투의 결과 자체로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이 전투로 훈족과 그들의 동맹군은 파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주요 도시를 약탈했던 갈리아 벨기카 지역을 떠나게 되었다.

서로마 제국이 갈리아 벨기카에서 이미 붕괴된 후 갈리아 로마의 "수아송 왕국"(457-486년)은 수아송 주변 지역을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프랑크 왕국이 승리를 거두면서 5세기에 벨기카 세쿤다는 클로비스(클로도베쿠스)의 메로빙거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다. 8세기 동안 카롤링거 제국에서 갈리아 벨기카 지역은 네우스트리아(대략 벨기카 세쿤다, 주요 도시 파리, 랭스)와 아우스트라시아(대략 벨기카 프리파와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주요 도시 트리어, 메스, 쾰른)로 나뉘었다. 샤를마뉴의 아들인 경건왕 루이의 죽음 이후, 카롤링거 제국은 843년 베르됭 조약에 의해 분할되었다. 경건왕 루이의 세 아들은 영토를 동프랑크(오늘날 독일의 전신), 10세기 중반부터 오늘날 프랑스의 핵심이 되는 (일 드 프랑스) 서프랑크(스헬더 강 서쪽), 로타링기아가 계승한 중프랑크로 나누었다. 종종 프랑크 제국의 해체로 제시되지만, 사실은 살리 프랑크족의 재산 세습을 계속해서 고수한 것이었다. 로타링기아는 870년 서프랑크와 동프랑크의 메르센 조약으로 분할되었다.

 

1611년 저지대 국가를 레오(사자) 벨기쿠스로 표현한 지도
네덜란드 공화국의 라틴 이름 '벨기카 포이데라타'

 

유산

 

벨기카라는 이름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체 영토에 대한 라틴어 이름으로 저지대 국가들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1500년대에 17개 주는 독립적인 벨기카 포이데라타 또는 네덜란드 연방 공화국과 벨기카 레기아 또는 합스부르크 왕가의 왕실 남부 네덜란드령으로 나뉘었다. 벨기카 포이데라타는 1581년부터 프랑스혁명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그 후에도 1815년 창설된 네덜란드 연합왕국은 여전히 호와욤 데 벨쥐키(Royaume des Belgiques)로 알려졌으며, 1831년 남부에서 분리주의 혁명이 일어난 이후 근대 벨기에가 창설되었으며 런던 조약(1839년)에서 네덜란드가 새로운 국가를 인정하면서 이 명칭은 네덜란드를 제외한 벨기에에 귀속되었다.

 

 

 

출처 : 위키피디아

728x90

'로마 이야기 > 로마속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티아  (0) 2024.04.17
갈라티아  (2) 2024.04.16
갈리아 루그두넨시스  (0) 2021.08.05
갈리아 아퀴타니아  (0) 2021.08.04
일리리쿰 - 상(上)  (0) 2021.08.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