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Faber est quisque fortunae suae" - Appius Claudius Caecus
로마 이야기/로마문명

로마 민중의 일상

by 금곡동로사 2023. 12. 5.
728x90

로마의 많은 공공 분수에서 여성들은 물을 길었다

 

 

로마의 뒷골목

 

쓰레기로 뒤덮인 로마의 뒷골목은 흙과 질병, 잔인함으로 가득 차 있었다.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강도들이 붙잡혔다. 가게 주인과 노점상들은 파는 물건을 외쳤고 수레, 당나귀, 보행자, 길 잃은 돈이 혼잡한 도로에서 함께 뒹굴었다. 때때로 전염병이 도시를 휩쓸고 수천 명의 사람들을 죽였다. 당연히 40세를 넘긴 가난한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


- 사람들은 판매대 바깥의 길에서 따뜻한 음식을 샀다

- 와인을 파는 가게

- 구걸하는 아이들은 흔한 광경이었다

- 수레는 좁은 거리를 겨우 통과했다

 

 

음식을 파는 가게를 내부에서 본 모습

 

 

공동주택 인술라

 

· 콘크리트로 짓다
건축비를 낮추기 위해 인술라는 부분적으로 나무로 지어졌다. 그러나 정기적인 구조적 손상과 화재 발생으로 인해 초기 형태의 콘크리트가 대신 사용되었다.

· 고층이 아닌
인술라를 지을 수 있는 높이를 제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68로마피트(약 21미터)로 상한을 정했고, 64년 로마 대화재 이후 네로가 60피트로 더 낮췄다.

· 꼭대기층 문제
오늘날에는 아파트의 최상층이 가장 탐나지만, 인술라는 반대였다. 주거공간이 높을수록, 더 싸고, 좁고, 협소한 계단으로만 접근할 수 있었기 때문에 불이 났을 때 더 위험했다.

· 열악한 환경
비록 아파트의 낮은 층에는 물을 퍼 올렸지만, 위층에는 도달할 수 없었다. 화장실이 있는 경우는 드물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로마의 공공 화장실을 이용해야만 했다.

· 오물 처리
인술라의 일반적인 상태는 더럽고 비위생적일 수 있다. 주민들은 쓰레기(및 인간쓰레기)를 창문 밖으로 거리에 내다 버리곤 했다.

· 옷을 외부에 보이게 걸었다
위층의 창문이 작고 조금만 열도록 되어있었기 때문에, 인술라는 안뜰에서 들어오는 것 외에는 환기나 채광이 거의 없었다. 더 비싼 아파트들 중 일부는 둘러싼 발코니가 있었을지도 모른다.

· 관리인
각 인술라를 관리하는 '인술라리우스'가 임명되었다. 그의 업무 중에는 불만을 수정하고 건물에 화재 진압용 양동이와 도끼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있었다.

· 건물 상점
1층에는 작은 상점과 사업체가 있었고, 자신들의 상품을 거리에서 직접 판매함으로써 각 인술라에 더 큰 공동체 의식을 부여했다.

· 집주인의 고통
엄청나게 부유한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는 많은 인술라를 소유했다. 전해진 바에 따르면, 그는 오래되고 낡아빠진 인술라가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했는데 새 건물에 더 높은 임대료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

 

 

햇살이 따가운 로마는 창문이 없거나 있어도 작고 조금만 열리도록 설계되었다.

옷을 말리기 위해 그림과 같이 걸어 말리는 경우가 많았다. 길이 좁아 사람들로 번잡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