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907 로마의 국경 방위 하드리아누스 방벽 로마 제국 내에서 가장 유명한 방어벽으로, 거의 300년 동안 로마 브리타니아와 칼레도니아의 야만인들을 나누는 주요 경계선 중 하나였다. 북쪽에 세워진 안토니누스 방벽을 제외하면 하드리아누스 방벽은 제국 전역에서 유일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122년에 건설을 명령하여 브리타니아의 총독 플라토리우스 네포스에 의해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126년경에 완공되었다. 방벽은 월센드(세게두눔)에서 보니스온솔웨이(또는 솔웨이 퍼스)까지 약 73 마일(80 로마 마일)에 걸쳐 있었다. 방벽은 가공할만한 수호자가 아니라 로마의 존재를 유지할 수 있는 기지로 계획되었다. 주로 보조군으로 구성된 로마군은 탑에 병력을 배치하여 국경을 감시하고 수비적으로 모든 대규모 적군과 싸워야 했다. 직접적인 공격이 있을 .. 2022. 1. 8. 450-700년 앵글로색슨의 정복 450-475년 브리타니아의 로마 행정부는 공식적으로 410년에 끝났지만, 실제로 로마 브리튼인은 한동안 그들 스스로 통치했고 어쨌든 409년에 그 행정부를 축출했다. 380년대에 브리타니아의 서부와 북부 국경을 확보했던 마그누스 막시무스의 재편은 무너지기 시작했다. 북부 브리튼은 살아남은 후손들 사이에서 점차 조각조각 나누어지면서 파편화되고 있었다. 마지막 분열은 470년경에 온 것으로 보이며 에브로크는 서쪽 지역인 페닌네스를 잃었다. 마찬가지로 포이스도 보르티게른과 암브로시우스 아우렐리아누스의 내전 이후 둘로 나뉘었다. 때때로 '중부 브리튼'으로 분류되었던 고도로 문명화된 서브-로마 브리튼의 심장부인 이 지역은 분명 서서히 해체되는 과정에 있었다. 색슨 해안을 따라, 이전의 라이티(야만인 용병을 지칭.. 2022. 1. 6. AD 43-425년 로마 브리타니아 AD 43년 로마인은 시즌 후반에 군대를 3개(그중 하나는 브리튼인의 허를 찌르기 위한 속임수였을 수도 있음)로 나누어 도착했다. 그들은 켄트의 리치보로와 웨스트서식스의 치체스터에 상륙했고, 처음에는 싸울 상대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브리튼인은 매우 현명하게 언덕과 습지로 이동하여 로마군이 보급품을 다 소모하길 바라며 시야에 띄지 않으려고 했다. 그러나 결국 로마군은 카투벨라우니의 토고둠누스와 그의 형제 카라타쿠스를 상대로 승리를 기록했고, 카라타쿠스에 대한 승리는 아마도 켄트에서였을 것이다. 도분니의 구성원들은 (아마도 사절을 통해) 즉시 항복했고, 카투벨라우니의 영향에서 벗어난 것을 기뻐했을 것이다. 그러나 카투벨라우니는 아직 끝나지 않았고, 그들은 아마도 켄트의 메드웨이 강에서 로마군을 만나 비.. 2022. 1. 5. BC 55-AD 43년 로마 이전의 브리튼 BC 5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BC 55년 켄트 해안에 상륙했을 때, 그는 대륙에 있는 가까운 친척들의 방식을 통해 남동부 브리튼인에게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가 대비하지 못한 것은 영국해협이었고, 일부 악천후로 인해 거의 대가를 치를 뻔했다. 그의 이번 탐사는 켄트의 경계를 벗어나지 못한 것 같다. 그러나, 1년 후 그가 돌아왔을 때, 훨씬 더 많은 병력과 몇 가지 문제들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훨씬 더 나은 발상과 함께였다. 그는 빠르게 칸티아키 부족을 물리치고 템스 강을 향해 진격하여 오늘날 에식스주의 브렌트포드에서 강을 건넜다. 그는 남쪽에 있는 6개 부족으로부터 사절과 친선을 제의받았지만, 언급한 브리튼 부족의 이름(지도에 표시되지 않음)은 추후 어떠한 .. 2022. 1. 5. 페르시아 및 중앙 아시아 (1400-1700년) 1400년 티무르 제국 티무르는 거의 40년에 걸쳐 다양한 정복을 통해 효과적으로 고대 페르시아 제국을 재창조했고, 그의 사후에 다시 경쟁하게 될 많은 씨족들과 칸국들을 제압했다. 1475년경 아나톨리아와 페르시아 백양 토후국 또는 아크 코윤루 연맹은 전성기에 북쪽의 아제르바이잔에서 페르시아 만과 동부 이란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다. 우준 하산 빈 알리(재위 1457-1478년) 치세에 정점에 도달한 백양 토후국은 1490년 이후 내전으로 내부 통합이 깨지고 외부 세력이 그들의 소유지를 쪼개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쇠퇴했다. 1508년에 종말이 찾아왔지만, 그 당시 이미 티그리스 강둑에 있는 디야르 바키르로 축소된 상태였다. 1500년 튀크르 칸국들 칭기즈칸이 세운 몽골 제국은 300년에 걸쳐 점차 .. 2022. 1. 4. 중앙아시아 및 인도 (300-900년) 300-600년 튀르크의 확장 튀르크족의 기원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지만, 알타이 산맥 주변 지역은 아마도 4세기 이후에 출현하기 전의 천 년 기(AD 1-1000년을 지칭) 동안, 그들의 발전 과정에서 일반적인 인큐베이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오손(烏孫)과 같은 집단에 대한 역사적 설명은 그러한 기원에 대한 명확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는 잠재적으로 그들이 원시 몽골어 또는 퉁구스어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그들의 개인과 부족 이름에서 볼 수 있는 인도 이란어파의 많은 영향에도 극도로 개방적이게 했을 것이다. 그들 옆과 이란 동부 문명 지대의 북쪽 끝에는 원시 불가르-튀르크어의 인큐베이터로 추정되는 지역이 있었다. 인도 이란어파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은 이 집단은 7세기 폰토스 .. 2022. 1. 3. 고대 페르시아 및 인도 BC 700년경 중앙아시아와 인도 BC 2200-1700년경 사이에 이란과 중앙아시아(메소포타미아, 이집트는 말할 것도 없이)에서 기후 변화로 인한 토착 문명과 문화가 붕괴함에 따라, 인도 이란인 집단들은 아랄해와 시르다리아 강에서 점차 남쪽으로 이동했으며 그들의 분파인 인도 아리안족은 인도로 진입했다(녹색 사선으로 표시). BC 제1천 년 기가 되자 인도 이란인은 제대로 증명되지 않은 '투르의 땅'(투란, 노란색 사선으로 대략 윤곽이 표시됨)과 아리아나(하얀색)로 알려진 넓은 지역(여전히 모호한)을 건설했고, 이란의 파르수아(연두색)에서는 결국 모두를 포함할 왕국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었다. 동쪽에서 그들의 주요 적국인 투란 왕국은 박트리아와 마르기아나 주변에 집중된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카스피해 남부 .. 2022. 1. 2. 사비니 여인 약탈 BC 89년 루키우스 티투리우스 사비누스가 주조한 2개의 로마 공화국 데나리우스 은화. 둘 다 앞면에 사비니 왕 티투스 타티우스가 그려져 있다. 뒷면에 로마 병사에게 납치되는 사비니 여인들(위)과 사비니족에게 처벌받는 타르페이아(아래)가 그려져 있다. 사비니 여인 납치 또는 사비니 여인 유괴로도 알려진 사비니 여인 약탈(라틴어 '사비나이 랍타이')은 로마 신화에서 로마의 남자들이 지역의 다른 도시에서 젊은 여자들을 대량으로 납치한 사건이다. 특히 르네상스 시대와 르네상스 이후 시대에 화가와 조각가들의 빈번한 주제가 되었다. "약탈"이라는 단어(유사한 포르투갈어 및 다른 로맨스어에서 "랍토"는 "납치"를 의미)는 사건에 대한 고대 기록에서 사용된 라틴어 랍티오의 일반적인 번역이다. 현대 학자들은 이 단어를.. 2022. 1. 1. 고대 오리엔트 수메르 도시들 수메르를 형성한 지역은 페르시아 만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두 강이 서로 더 가까이 굽이쳐 흐르는 메소포타미아의 '목'까지 이르렀다. 동쪽으로 자그로스 산맥에 어렴풋이 펼쳐져 산재한 도시국가들이 수메르로부터 학문과 무역으로 번창했고, 서쪽으로는 광활한 아라비아 사막이 펼쳐져 있었다. 지난 4천 년 동안 강들은 경로를 상당히 변경하여 일부 도시로부터 멀어지고 복합적인 운하 연결망을 말라버리게 했다. 그 당시, 두 강은 오늘날보다 단축된 만으로 흐르는 별도의 출입구를 가지고 있었다. 북쪽의 시파르, 보르시파, 키시, 남쪽의 우르, 우루크, 에리두와 같은 초기 도시들 중 일부는 도시와 운하의 복합 연결망의 종착점을 형성했다. 기르수와 니푸르는 매우 중요한 종교적 중심지였지만,.. 2022. 1. 1. 북유럽 (1560-2017년) 1560년 게르만 공국들 1560년에 도입된 제국 체제는 이제 시대에 뒤떨어진 봉건제도를 대체했다. 제국 관구(라이히크라이스)는 제국 주들의 지역 집단이었다. 비록 공동방위정책과 제국의 세금 징수 수단으로 마련되었지만, 관구는 제국 의회에서 조직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모든 관구에는 관구의 모든 지역이 참여하는 지역 의회(크라이스타그)가 있었지만, 관구의 모든 주가 제국 의회에 참여하는 것은 아니었다. 1581년 스칸디나비아 1300년 이후 약 3세기 동안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한때 미지였던 페노-스칸디나비아 북부 심부에 대한 지배력을 크게 늘렸다. 덴마크는 이제 노르웨이를 지배했지만, 노르웨이 왕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노르웨이 귀족들의 서류상 승인을 받아야 했다. 노브고로드가 사라지고, 이제 동부를 .. 2021. 12. 31. 중세 유럽 (814-1300년) 814년 스칸디나비아 발트해 동쪽의 슬라브족 영토에 대한 스웨덴의 관심과 탐사는 점차 커져갔고, 노브고로드의 류리크라는 핀족이 키이우(키예프) 대공국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크벤란드로 알려진 북쪽 미지의 지역에서 스웨덴인과 크바니족은 통합되기 시작했다. 남쪽에서 스웨덴인이 지배적인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지만 크바니족은 크벤란드 남부 지역 주민 중 하나에 불과했다. 결국 핀란드인이 된 다른 많은 부족에는 타바스터인(현재의 핀란드 중남부), 카리알라인(현재의 핀란드-러시아 국경에 있는 발트-핀란드인), 사보니아인(현재의 핀란드 중동부 지역에 있는 카리알라인과 타바스터인의 하위 집단)이 포함되었다. 843년 베르됭 조약 당시 프랑크 제국 프랑크 제국의 경건왕 루도비쿠스는 그의 장남 로타리우스를 위해 제국을 그대로.. 2021. 12. 30. 중세 유럽 (450-800년) 450-500년 유럽 동부 5세기 중반 직후 훈 제국의 멸망은 453년 아틸라의 죽음으로 시작되었다.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엘라크는 454년에 전투에서 전사했고, 456년 훈족이 동고트족에게 패배하여 훈족의 통합은 종식되었다. 아틸라의 남은 아들들은 패권을 놓고 서로 싸웠고 결국 영토의 일부만을 지배하게 되었다. 동부 괵튀르크의 갑작스러운 패권에 의해 곧 서쪽으로 밀려나 훈족에 의해 서쪽으로 끌려간 튀르크 부족들은 폰토스-카스피 스텝에 계속해서 세력을 늘리고 있었다. 불가르족은 이들 대규모 집단에서 가장 먼저 도착한 무리 중 하나였다. 그들은 훈 제국의 두 주요 집단인 쿠트리구르족과 우티구르족과 합류하였고, 종종 동로마인이 쿠트리구르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우티구르족을 이용했다. 다른 훈 제국의 잔재들은.. 2021. 12. 29. 고대 유럽의 부족(部族, tribe) BC 800-400년 이탈리아 철기 시대 에트루리아(지도의 주황색 영역)는 도시 국가의 집합체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그중 12개 도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리스인과 페니키아인의 공격으로부터 지역을 방어하기 위해 에트루리아 동맹을 형성하였고 때로는 도데카폴리스로 알려져 있다. 에트루리아의 지배력은 이탈리아 중서부와 베네티족(현재의 베네치아 주변)을 향해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고, 서쪽 해안을 따라 나폴리까지 뻗어 있었다. 알라리아가 코르시카 동부를 지배하여 카르타고의 페니키아인과 이탈리아 남부 및 시칠리아의 그리스인과 경계를 이루는 반원형의 영토를 완성했다. 다른 두 개의 에트루리아 동맹도 결성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남쪽의 캄파니아였으며, 카푸아 도시 국가(지금의 나폴리도 포함됨)가 이끌었다. 이 동맹은 그.. 2021. 12. 29. 선사 시대 유럽 마이오세 중기의 해안선 (1600만-1000만 년 전) 이 지도는 1600만 년 전의 테티스 해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중 오늘날 지중해만이 남아있다(점선은 오늘날 해안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파라 테티스 해는 흑해, 카스피해, 아조프해로 남아있다). 일련의 지구 지각 움직임이 아프리카와 유라시아를 처음으로 연결시킨 지 약 200만 년 후인 중기 마이오세 시대이다. 이 육지 연결을 통해 유인원과 원숭이를 비롯한 아프리카 동물들이 유럽과 아시아로 건너갈 수 있었고, 일부 설치류와 고양이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했다. 대륙판 사이의 충돌은 세계에서 가장 어린 산맥인 피레네 산맥, 알프스 산맥, 히말라야 산맥, 자그로스 산맥을 밀어 올림으로써 이전의 평평한 경관을 변화시키며 주요 지질학적 격변을 야기했다. 동아프리카.. 2021. 12. 28. 고대 중국 왕조 (한-삼국-오호십육국-남북조) BC 200년경 한(前漢) 왕조 진의 정복은 위대한 진시황이 죽을 때까지 기다려야 했고 진나라 군대를 파괴하는 데에도 여전히 1년의 전투가 필요했다. 그 후 승자들은 분열된 국가를 재통합시키기로 결정한 내전으로 4년을 더 보내고 한이 왕조를 계승했다. 이어서 한나라는 점차 이웃한 영토로 확장하여, 특히 남쪽의 전(滇, Dian)으로부터 영토를 빼앗고 오늘날 중국의 일부를 구성하는 영토를 포함하고 있는 남월 왕국을 정복했다. 북쪽과 서쪽의 유목민 부족들을 제압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결국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BC 203-165년경 대월지의 이주 대월지는 한의 북서쪽에 있는 목초지를 지배하기 위한 오랜 투쟁 끝에 흉노에게 패배하고 간쑤 지역(甘肃省)에서 쫓겨났으며, 중앙아시아로의 이주 경로는 그들이 .. 2021. 12. 27.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61 다음 728x90